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최태원 SK 회장, 반도체 소재와 바이오로 글로벌 선두에 나선다

기사승인 2020.06.19  14:34:55

공유
default_news_ad2

- 국내 반도체 업계 생태계 회복에 초점-바이오 시장에선 당장 IPO 초대어로 주목

[테크홀릭] 최태원 SK회장이 국내 주요그룹 총수와 회동하면서 현장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최근 최 회장의 관심은 일단 최근 가장 치열한 시장인 반도체와 바이오 사업에 쏠려 있다.

무엇보다 지난해 일본이 수출규제 조치를 취한 후 우리 기업들이 소재 국산화를 하지 못해 일본에 일방적으로 밀리는데 대해 그룹 차원에서의 대응을 강하게 주문해 왔다. 그 결과 SK그룹은 17일 반도체 소재 생산 기업인 SK머티리얼즈가 최근 초고순도(순도 99.999%) 불화수소(HF) 가스 양산을 시작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일본 수출규제 대표 품목인 초고순도 불화수소 가스는 반도체 제조에 쓰이는 세정 가스로 그 전까지는 반도체 공정 미세화를 쫓아가지 못한 국내 기술력의 한계로 해외 의존도가 100%에 달했다.

최 회장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적극적인 투자를 감행했다. 그리고 SK머티리얼즈가 작년 말 시제품 개발에 성공했고 경북 영주공장에 15t 규모 생산시설을 지으면서 한국 반도체 소재 기술력의 한 단계 성장을 주도했다. SK측은 2023년까지 국산화율을 70%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그룹에 따르면 SK머티리얼즈는 최근 고부가 제품인 하드마스크(SOC)와 불화아르곤 포토레지스트(ArF PR) 개발에도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불화아르곤 포토레지스트도 해외의존도가 90%에 달한다. 일본이 자신 있게 밀어붙인 분야가 바로 이것이다. 한국 반도체 산업의 목줄을 쥐겠다는 아베 일본 총리의 계산이었다.

그러나 SK가 여기에 제동을 걸었다. SK머티리얼즈는 내년에 400억 원을 투자해 생산시설을 준공하고 2022년부터 연 5만 갤런 규모 포토레지스트를 생산할 계획이다. 공장은 세종시 인근에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SK머티리얼즈는 15일 이사회에서 이 같은 방안을 결정했다.

SK실트론의 약진, 반도체 웨이퍼 산업을 견인

SK실트론은 SK㈜가 2017년 8월 LG그룹 지주사 ㈜LG로부터 LG실트론 지분 51%를 6200억 원에 인수하고 이름을 바꾼 기업이다. 그런데 사업의 약진으로 SK그룹 편입 전인 2016년(1조2038억 원)과 비교해 자산가치가 3배나 늘어났다.

최태원 회장은 SK하이닉스 반도체 사업에 기반을 지키기 위해 SK실트론이 집중 투자를 진행하도록 했다. 그 결과 2017년 3338억 원, 2018년 6336억 원을 설비투자와 생산능력 강화에 투입했고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무려 9000억 원이 넘는 대규모 투자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또 지난 해 9월에는 듀폰의 실리콘 카바이드(SiC) 웨이퍼 사업부를 약 5400억 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실리콘카바이드 웨이퍼 사업은 미국·유럽의 소수 업체가 세계 시장을 과점하고 있다.

최태원 회장은 반도체 소재 국산화를 자본투자와 기술력으로 해결하고 중소기업들과 상생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SK하이닉스는 4천억 원 규모의 상생펀드를 조성해서 협력사들에 저금리 융자도 제공하고 있다.

최근의 SK계열사들의 합병 인수 건은 국내 반도체 생태계 강화에 기여하겠다는 최 회장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이 때문에 SK바이오팜에 이어 SK그룹 기업공개(IPO) 차기 후보로 SK실트론이 거론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크게 쏠리고 있기도 하다.

반도체 전문지에 따르면 우리나라 반도체 웨이퍼 수출이 1년 만에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했다. 당연히 SK실트론의 실적도 상당히 커질 전망이다.

SK차이나의 중국 BYD 지분 인수

SK그룹 중국 현지 지주회사인 SK차이나가 중국 BYD반도체에 1억5천만위안(약 250억 원)을 투자해 지분 1.47%를 확보한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중국 전기차회사 BYD는 차량용 센서칩 등을 생산하는 BYD반도체를 분사하며 총 27억 위안(약 4천620억 원)을 조달했다. 이곳에 투자한 업체들은 BYD 반도체 지분 26.5%를 확보한다.

최대 투자자는 미국 자산운용사인 히말라야캐피탈로, 2억1천700만 위안(370억 원)을 투자해 지분 2.13%를 보유하게 됐다. SK차이나의 투자 규모는 그 다음이다.

중국 지분을 가짐으로써 SK는 글로벌 경영으로 중국 시장을 두드리며 반도체 공급 체인을 확장해 갈 것으로 기대된다.

이 지분 동참에는 영국 시스템 반도체 설계업체 ARM, 중국 샤오미·레노버·SAIC 인베스트먼트·BAIC 인베스트먼트, 홍콩 CMB 인터내셔널 등도 가담해 있어 글로벌 협업 체제를 갖추고 있다.

한편 최태원 회장은 이달 초 싱하이밍(邢海明) 주한 중국대사와 만나 양국 간 경제 현안과 협력방안 등을 논의했다. 싱 대사 부임 후 주요 그룹 회장 만남은 최 회장이 처음이다. 그만큼 국내 대기업계의 어른으로 대접받고 있는 셈이다.

업계 소식통들은 표면적으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과 경제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한 것이지만 SK의 중국 투자와 반도체 사업에 대한 진지한 이야기가 오갔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내부 소식통에 따르면 SK그룹은 중국에서 100여 개의 법인을 등록해 40여 개 도시를 관할하고 있다.

SK바이오팜의 약진

SK바이오팜은 최 회장이 계속 해서 공을 들여온 기업이다. SK바이오팜은 19일 기업공개(IPO)를 위한 수요예측에서 최고의 흥행 성적을 거두었다. 수요예측에 참여한 국내 기관투자자들이 모두 밴드 상단 이상의 가격을 적어냈고 공모주 배정을 더 받기 위해 보호예수 확약을 제시한 기관도 83.5%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1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지난 17~18일 진행된 SK바이오팜 수요예측에 976개의 국내 기관이 참여했고 이들의 주문 총액은 569조7,628억 원이며 수요예측 참여 평균 가격은 5만8,617원이다.

SK바이오팜은 그동안의 신약 개발 경험과 연구개발(R&D) 역량을 바탕으로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서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일 정도로 성장했다.

SK그룹은 지난 1993년 차세대 성장 동력 발굴을 위해 불확실한 시장임에도 신약 개발에 뛰어들었다. 성공 여부에 대한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었지만, 최태원 회장의 강력한 의지와 지원 속에 제약 사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했고 그 결과 SK바이오팜이 미충족 수요가 높은 중추신경계 질환에 대한 혁신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여기에서 나아가 SK바이오팜은 자체적으로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의 개발과 임상을 완료한 데 이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까지 받았다.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는 지난달부터 미국 현지에서 팔리고 있고 시장성이 큰 품목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 미국 재즈파마슈티컬스에 기술 수출한 수면장애 치료제 ‘솔리암페톨’이 지난해 3월 FDA 관문을 통과해 SK바이오팜은 FDA 허가를 받은 신약을 2개나 보유한 국내 첫 기업이 됐다.

제약업계는 이런 결과 자체만으로도 대단한 성과라고 평가하고 있다.

최태원 회장은 최근 국내 주요 그룹 회장들과 만남을 계속 갖고 있다. 경쟁하는 사이지만 잦은 만남으로 상생과 협력을 다져 코로나19를 함께 극복해 가자는 의미다. 최태원 회장의 이 같은 현장 경영 리더십이 또 어떤 성과물을 낼지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최태원 SK 회장(사진=SK)

이상엽 기자 thtower1@techholic.co.kr

<저작권자 © 테크홀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5

가장 많이 본 뉴스

1 2 3 4 5
item45
ad42

재미있는 테크월드

item47

핫&이슈

ad41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패밀리 제휴업체 Click 하세요!
ad40
default_nd_ad2
default_side_ad3
default_side_ad4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